알림마당

+
  • 2023-11

    23

    재단소식 백신사업단 미래바이오 이끌 ‘백신·치료제’… 글로벌 생산 공정 ‘원스톱 지원’

    ■ 정부 백신사업단, 개발사업 집중 육성2028년 시장 규모 1035억 달러동물세포·미생물 실증센터 구축임상시료·국내외 인허가 등 지원전문 인력 양성 교육과정 개발유전자 치료제 생산체계도 강화1위 2억 명. 2위 1억 명. 3위 5500만 명. 세계백신면역연합(GAVI)이 추산한 역대 감염병 사망자 최대 추정치다. 가장 많은 사망자를 낸 감염병은 1334년부터 1353년까지 유럽 전역을 휩쓴 흑사병이다. 두 번째로 많은 사망자를 낸 감염병은 스페인 독감으로 1918년부터 1920년까지 최소 5000만 명에서 최대 1억 명의 목숨을 앗아간 것으로 추정된다. 3위는 1600년대 초반까지 유행했던 천연두다. 이뿐만이 아니다. 홍콩독감, 신종플루,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코로나19 등 치명적 감염병은 끊임없이 인류를 공격하고 있다.백신글로벌산업화기반구축사업단이 지원하는 경북 안동의 동물세포실증지원센터는 대규모 생산라인(왼쪽 사진)을 갖추고 있다. 아래 사진은 비슷한 규모로 전남 화순에 위치한 미생물실증지원센터에서 연구진이 실험장비를 점검하는 모습. 각 센터 홈페이지 캡처다행스럽게도 우리에겐 ‘백신’이라는 무기가 있다. 최근 세계 인구 690만여 명을 사망하게 한 코로나19를 극복할 수 있었던 것 또한 백신의 힘이었다. 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을 계기로 백신의 중요성이 그 어느 때보다 커졌으며 백신 확보는 국가 안보와 직결되는 상황으로 이어지고 있다. 그 핵심은 백신 개발 기술력이다. 주요국은 백신 개발을 국가 핵심사업으로 육성한다. 미래 먹거리 산업으로도 주목받고 있다. 글로벌 백신 시장 규모는 2015년 167억 달러에서 2019년 228억 달러로 급성장했으며 2028년에는 1035억 달러에 도달할 전망이다. 국내도 백신 개발은 물론 관련 산업을 전략적으로 육성 지원하는 역할이 중요해지고 있다.이를 위해 정부는 지난 2017년 바이오산업 육성과 글로벌 진출을 지원하는 기관으로 재단법인 백신글로벌산업화기반구축사업단을 설립했다.재단은 백신과 치료제 개발에 필요한 GMP(우수 의약품 제조·관리 기준) 생산, 공정개발 등을 지원하고 있다. GMP는 우수한 의약품을 제조하기 위해 공장에서 원료의 구입부터 제조, 출하 등에 이르는 모든 과정에 필요한 관리기준을 규정한 것이다.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1963년 GMP를 제정·공표하면서 세계보건기구(WHO)와 각국에서 도입하고 있다.재단은 산업통상자원부, 경북도, 안동시, 전남도, 화순군의 지원을 받아 글로벌 수준의 GMP 생산시설인 실증지원센터(동물세포실증지원센터, 미생물실증지원센터)를 지난 2021년에 구축해 지원하고 있다.경북 안동에 위치한 동물세포실증지원센터는 동물세포와 바이러스를 이용한 백신과 치료제를 지원한다. 미생물을 이용한 백신과 치료제를 지원하는 미생물실증지원센터는 전남 화순에 위치해 있다.재단은 실증지원센터를 기반으로 △(비)임상시료 및 제품 생산대행 △국내외 인허가 지원 △제조기술개발 △전문인력양성 △국내외 산·학·연간 협력 네트워크 구축 △국가 비상시 정부에서 요청하는 백신 생산 등 다양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코로나19 팬데믹을 계기로 정부는 신종감염병 대유행을 대비해 ‘100/200일 초고속 백신·치료제 신속개발’ 지원정책을 수립, 재단을 통해 백신과 치료제의 생산을 지원하고 있다. 재단은 국내기업의 코로나19 백신 개발을 위해 국내외 임상 진행에 필요한 시료 생산, 공정개발, 기술컨설팅 등을 도왔다. 현재 미생물실증지원센터가 지원한 메신저리보핵산(mRNA) 코로나19 백신은 임상 2상이 진행 중이며, 동물세포실증지원센터가 지원한 오미크론 전용 백신은 임상 3상이 이뤄지고 있다.재단은 또한 백신산업 현장에 즉시 투입 가능한 실무형 전문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GMP 수준의 전문교육시설을 지난해부터 구축하고 맞춤형 교육과정을 개발해 시범교육을 진행하고 있다. 교육시설은 WHO 글로벌 바이오 인력양성 훈련기관으로도 지정됐다. 현재까지 브라질, 이집트 등 20여 개 국가 300명을 대상으로 백신의약품 품질관리 기본교육, GMP 제조소 실습 및 규제교육 등을 제공했다.재단은 백신 개발 기간을 평균 10년 이상에서 1년 미만으로 단축한 mRNA 기술 개발도 지원할 예정이다.미생물실증지원센터는 글로벌 GMP 수준의 mRNA 제조시설 구축을 위해 2025년 상반기 준공을 목표로 올해 말 착공 예정이다. 현재 일부 장비를 구축하고 품질시험과 안정성시험을 지원하고 있다.재단은 백신 외에도 첨단바이오의약품(치료백신, 세포치료제, 유전자치료제 등)의 (비)임상시료, 상업용 제품으로까지 생산을 지원하고 있다. 또 국내외 유관기관과 협력체계를 구축해 백신 개발 지원체계를 강화하고, 국가 위기 시 필요한 비축백신 생산도 지원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설대우 재단 이사장은 “최근 들어 팬데믹의 발생 주기는 점점 짧아지고 피해는 더욱 커지고 있다”며 “재단의 지원체계를 더욱 발전시켜 우리나라의 감염병 극복에 기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소감염병 ‘우두’ 접종하며 시작… 국내선 홍역 등 18종 비용 지원백신 어떻게 개발됐나백신(vaccine)이라는 이름은 라틴어로 암소를 의미하는 바카(vacca)에서 유래했다. 1976년 영국의 의사 에드워드 제너가 소에서 발병하는 질병 ‘우두(cowpox)’에 걸렸던 사람은 천연두에 걸리지 않은 것에 착안됐다. 제너가 우두를 사람의 몸에 주사한 것이 백신의 시작이다. 이후 의학기술이 발달한 20세기에 들어 콜레라, 장티푸스, 파상풍, 척수성 소아마비, 홍역, A형 간염에 이어 코로나19까지 감염병에 대응하는 백신이 끊임없이 개발되고 있다.국내에서는 정부가 예방접종을 △필수예방접종 △국가예방접종 △기타예방접종으로 분류해 시행하고 있다. 이 중 필수예방접종은 감염병예방법에 따라 지방자치단체장이 지역 보건소를 통해 필수적으로 예방접종을 시행해야 하는 감염병에 대한 예방접종을 말한다. 디프테리아, 폴리오, 백일해, 홍역, 파상풍, 결핵, B형간염, 수두, 인플루엔자 등 18종이다. 다만, 필수예방접종이라고 의무 사항은 아니며, 필수적으로 권고한다는 의미다. 국가예방접종은 필수예방접종에 대해 국가에서 지정한 백신이다. 보건소와 지정의료기관에서 예방접종을 할 경우 ‘국가예방접종사업’을 통해 예방접종 비용을 지원받을 수 있다. 필수예방접종은 모두 국가예방접종에 포함돼 있다. 기타예방접종은 국가예방접종 대상 백신 외에 의료기관에서 유료로 접종받을 수 있는 예방접종이다. 대표적으로 대상포진, 수막구균, 성인용 A형간염 백신 등이 있다. 자세한 사항은 질병관리청 예방접종도우미 누리집에서 확인이 가능하다.이용권 기자 freeuse@munhwa.comhttps://www.munhwa.com/news/view.html?no=2023112301032921080001

  • 2023-11

    22

    재단소식 미생물센터 [센터소식] 공식 홍보영상 국문·영문본 유튜브 업로드 및 자막 게시 안내

    미생물실증지원센터 대외협력팀입니다. 우리 센터공식홍보영상 국문·영문본의 유튜브 업로드와 자막(한글, 영어)을 게시함을 안내드립니다. ○국문본 영상○영문본 영상센터에 관심을 가져주셔서 항상 감사드리며, 더 좋은 소식으로 찾아뵙길 기대하겠습니다.감사합니다.

  • 2023-11

    17

    재단소식 미생물센터 [보도자료] '2023 화순국제백신·면역치료포럼' 참가자 미생물실증지원센터 방문

    [첨부] 20231117 [보도자료] '2023 화순국제백신·면역치료포럼' 참가자 미생물실증지원센터 방문.pdf[첨부] 20231117 [보도자료] '2023 화순국제백신·면역치료포럼' 참가자 미생물실증지원센터 방문.docx- 11월 17일(금) ‘2023 화순국제백신·면역치료포럼’ 참가자 센터 방문 - 정부·기업·대학·연구소 등 산업 관계자 대상 센터 소개 및 시설 견학 진행▲조선대학교 의생명공학과 학생이 복도에서 사진을 촬영하고 있다.▲대외협력팀 송진영 팀장이 센터 소개와 투어 일정을 안내하고 있다.▲실용화지원팀 최인성 책임연구원이 연구개발 시설을 안내하고 있다.□ 미생물실증지원센터(센터장 조민)은 11월 17일(금)‘2023 화순국제백신·면역치료포럼’ 참가자 일부를 대상으로 센터 소개와 시설 견학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11월 16일(목)~17일(금) 이틀간 화순 하니움문화스포츠센터에서 ‘미래 백신과 면역치료를 위한 신기술’을 주제로 ‘2023화순국제백신 ·면역치료포럼’이 개최됐다.□ 이틀간 진행된 포럼에는 정부·기업·대학·연구소 등 제약·바이오 산업 종사자와 관계자가 다수 참가하여 인파를 이루었으며, 미생물실증지원센터를 포함한 화순 메디컬·바이오 클러스터 소속 기관과 기업이 연구성과와 서비스 홍보를 위해 부스를 운영했다.□ 둘째 날인 17일(금) 오후에는 ▲순천대학교 약학과 ▲조선대학교 의생명공학과 ▲다이나믹바이오(바이오의약품 산업발전 전략기획단) 등 산·학·연·관 관계자를 포함한 약 130여명이 센터에 방문하여 시설에 대한 소개를 받고 생산·품질관리·연구개발 시설 현장을 견학했다.□ 이날 현장을 견학할 때는 생산시설 운영 규정에 따라 실제 탈의실에서 위생과 물품을 점검하고 복장을 착용하며 진행했다.□ 미생물실증지원센터는 산업통상자원부, 전라남도, 화순군은 총 사업비 836억원의 ‘백신글로벌산업화기반구축사업’을 통해 2020년 화순백신산업특구 단지 내 건축 준공 및 운영을 시작했으며, 글로벌 수준의 시설과 장비를 활용해 ‘미생물 배양 기반 CDMO, Cell bank 위탁 생산 및 보관, GMP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작년 산업통상자원부, 전라남도, 화순군으로부터 추가적으로 총 사업비 430억원의 ‘mRNA 백신 실증지원 기반 구축’과 240억원의 ‘미생물기반 백신전문인력양성’ 사업을 수행하게 되어 장비 발주와 공사를 진행중이며, 25년 mRNA 백신 생산시설과 교육관 준공 및 운영을 목표로 하고 있다.

SUPPORT SERVICE

(재)백신글로벌산업화기반구축사업단의 주요 추진사업입니다.
백신 산업화 기업지원 이미지

백신 산업화 기업지원

백신 GMP 제조시설을 활용한 백신 기업의
공정개발 및 임상·비임상 시료 생산 지원

백신산업 전문인력 양성 이미지

백신산업 전문인력 양성

글로벌 실무능력과 전문성을 갖춘
백신산업 전문인력 양성

mRNA 백신 실증지원 기반구축 이미지

mRNA 백신 실증지원 기반구축

mRNA 백신 상용화를 위한
시설과 장비를 구축하여 기업지원

백신 위탁개발생산(CDMO) 이미지

백신 위탁개발생산(CDMO)

글로벌 GMP에 적합한 동물세포 및
미생물기반 임상용 백신 생산을 대행

+

STORY

세계 5대 백신강국 실현, 글로벌 백신 산업화 허브 (재)백신글로벌산업화기반구축사업단

신종플루, 메르스, 코로나-19 등 주기적으로 팬데믹이 발생하는 상황에서
전염병 예방을 위한 백신의 중요성은 날로 커지고 있습니다.
국내 중소기업들이 백신 개발에 성공하고 우리나라가 백신 강국이 될 수 있도록
재단 임직원들은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습니다.

+
story 이미지

LOCATION

(재)백신글로벌산업화기반구축사업단의 위치 안내입니다.
위치 아이콘

사무국 위치 안내

세종특별자치시 갈매로 363, 세종파이낸스센터 313호

상세 안내 보기